유니언포씨
Loading...

수산 자료

최신 수산물과 관련한 다양하고 선별화 된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종별 2023년 10월까지의 주요 어종별 월간 수산물 수입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주)유니언포씨 작성일 2023-11-01
조회수 50

본문

c6cc19dfd58c0440c0393da1e730a1a2_1698814450_728.jpg
 

10월까지 수입량이 많은 10개 어종은 냉동 명태, 냉동 고등어, 냉동 오징어 동체, 냉동 오징어, 냉동 청어, 냉동 아귀, 냉동 주꾸미,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 냉동 낙지, 냉동 자숙 오징어 동체 순으로 나타났다.

 c6cc19dfd58c0440c0393da1e730a1a2_1698814459_0733.png 

냉동 오징어 동체를 포함한 아귀, 낙지 3개 품목은 전년 대비 올해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냉동 명태, 고등어, 오징어, 청어, 주꾸미, 오징어 지느러미, 자숙 오징어 동체 7 품목은 수입량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c6cc19dfd58c0440c0393da1e730a1a2_1698814464_9841.png

주요 어종별 수입량 증감 비율 (2022>2023)


1.  냉동 명태 60% 감소 (284,996> 114,807) 전체 수입량의 14.62% 차지

2.  냉동 고등어 10% 감소 (37,806> 34,106) 전체수입량의 4.33% 차지

3. 냉동 오징어 동체 41% 증가 (20,750> 29,301) 전체수입량의 3.73% 차지,

4. 냉동 오징어 수입량 3% 하락 (27,661> 26,739) 전체수입량의 3.40% 차지

5. 냉동 청어 수입량 11% 감소 (25,585> 22,685) 전체수입량의 2.89% 차지

6. 냉동 아귀 4% 증가 (20,720> 21,644)

7. 냉동 주꾸미10% 감소 (22,939>20,541)

8. 냉동 오징어 지느러미 6% 하락 (21,567>20,196)

9. 냉동 낙지 4% 증가 (17,936>18,596)

10. 냉동 자숙 오징어 동체 17% 감소 (14,303>17,287)


c6cc19dfd58c0440c0393da1e730a1a2_1698814482_53.png

 

문서번호: SH-2023-1101-1

 

* 상기 내용을 복제, 링크, 활용 또는 미러링 등을 통해서 이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자료출처 : (주)유니언포씨 https://www.forsea.co.kr"라고 기재하고 링크 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산물장터 / 수산물뉴스 / 수산물무역 / 국가별수산통계 / 어종별수산통계 최근 자료